GIS를 위한 데이터 셋들은 '이쁜 나뇽'님 네이버 블로그에 잘 정리되어있습니다.
저는 주로 국가공간정보포털(www.nsdi.go.kr)과 물환경정보시스템(http://water.nier.go.kr/publicFront/gisInfo/gisKrf.jsp?menuIdx=5_1_3#)을 사용했습니다.
개인적으로 북한 자료도 이용해야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.
최근에 종영한 '사랑의 불시착'을 보면서 세상이 많이 바뀌었다는 생각했습니다.
비록 리정혁은 스위스로 갔지만 ㅋ. 북한 자료도 많이 필요한 날이 곧 오지 않을까요?
워낙 미지의 국가라 정보가 제한적입니다만 북한 관련 북한정보포털(https://nkinfo.unikorea.go.kr/nkp/main/portalMain.do)을 참고해보세요.
마지막으로, qGIS에서 네이버에서 보는 것과 같은 기본 우리나라 지도가 필요하다면 이민파님이 올려주신 'https://groups.google.com/forum/#!topic/osgeo-kr/z3pDmgcv770' TMS for Korea를 바탕으로 깔고 해보세요.
혹시 에러에 대비해서 이걸 또 고치라고 알려주는 '서울대에서 GIS 하기' https://snugis.tistory.com/120가 있습니다.
정말 캄솨한 날이네요. :) ㅎ
+나중에 찾아보니 openlayer를 가지고 topo와 street을 볼 수 있는 plugin이 있네요.
설치방법 https://youtu.be/TvzYAg2Zvek를
사용방법 https://youtu.be/0EeKTwfQHQA을 보세요.
++ DEM은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받은 뒤 https://progworks.tistory.com/75을 따라 수정해보세요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